| 평가기관 | 신용 등급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utlook | 평가 년도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
|---|---|---|---|---|
| 국내 | 한국신용평가 | AA | 안정적 | 2023 | 
| NICE 신용평가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A | 안정적 | 2023 | |
| 해외 | S&P | BBB+ | Stable | 2023 | 
| Moody's | Baa1 | Stable | 2023 | |
| S&P | BBB+ | Positive | 2022 | |
| Moody's | Baa1 | Stable | 2022 | |
국내 신용등급 정의
| 등급 | 등급 정의 | 
|---|---|
| AAA | 원리금 지급능력이 최상급임 | 
| AA |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| 
| A | 원리금 지급능력은 우수하지만 상위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음 | 
| BBB | 원리금 지급능력이 양호하지만 상위등급에 비해서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장래 원리금의 지급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| 
| BB | 원리금 지급능력이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래 안전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없는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| 
| B | 원리금 지급능력이 결핍되어 투기적이며 불황시에 이자지급이 확실하지 않음 | 
| CCC | 원리금 지급에 관하여 현재에도 불안요소가 있으며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 매우 투기적임 | 
| CC | 상위등급에 비하여 불안요소가 더욱 큼 | 
| C |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이 높고 원리금 상환능력이 없음 | 
| D | 상환 불능상태임 | 
* AA부터 B등급까지는 +,- 부호를 부가하여 등급을 세분화합니다.
해외 신용등급 정의
| S&P | MOODY’S | 등급 정의 | 
|---|---|---|
| AAA | Aaa | 신용도가 최상위로 판단되며 신용 리스크는 가장 낮은 수준임 | 
| AA+ AA AA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a1 Aa2 Aa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도가 우수하다고 판단되며 신용 리스크는 매우 낮음 | 
| A+ A A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1 A2 A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도가 중상위 수준이라고 판단되며 신용 리스크는 낮음 | 
| BBB+ BBB BBB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aa1 Baa2 Baa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 리스크가 보통 수준이며 신용도가 중간 수준 | 
| BB+ BB BB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a1 Ba2 Ba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투기적 요소가 있으며 신용 리스크가 상당한 수준 | 
| B+ B B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1 B2 B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투기등급이라고 판단되며 신용 리스크가 높은 수준 | 
| CCC+ CCC CCC-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aa1 Caa2 Caa3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용도가 취약하고 신용 리스크가 매우 높은 수준 | 
| CC | Ca | 디폴트 상태 또는 디폴트에 매우 가까운 상태이나, 어느 정도 원리금 회수 가능성은 있음 | 
| C | C | 파산신청 혹은 이와 유사한 상황이며, 채무상환은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| 
| D | - | 지급불능상태 | 
* S&P는 각 등급에 +, -를, Moody's는 1, 2, 3을 부가하여 등급을 세분화합니다.